본문 바로가기
실생활 주범

세입자 중!! 전세 사기 피해자가 됐다면?

by 종꿍이의 하루 2025. 9. 4.
728x90
반응형

세입자가 꼭 해야 할 행동 가이드

전세 사기 피해는 누구에게나 갑작스럽게 찾아올 수 있습니다.
“설마 내가 피해자가 될 줄은…” 하는 순간, 이미 보증금 수억 원이 위태로워질 수 있죠.
그렇다면 만약 전세 사기 피해자가 됐다면 무엇을 가장 먼저 해야 할까요?


✅ 1. 증거 확보부터!

  • 계약서 원본, 등기부등본, 송금 내역을 빠짐없이 챙기세요.
  • 문자, 카톡 대화 내용도 증거가 될 수 있으니 따로 저장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나중에 소송, 형사 고소, 보증보험 청구 시 필수 자료가 됩니다.

✅ 2. 즉시 전입신고 + 확정일자 확인

  • 이미 피해를 본 상황이라도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확보하는 게 중요합니다.
  • 동주민센터에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꼭 확인하세요.

✅ 3. 임차권등기명령 신청

  • 이사를 나가야 하는 경우라면 반드시 법원에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하세요.
  • 이 제도를 이용하면 실제 거주하지 않아도 보증금 반환 청구권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
✅ 4.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보험 청구

  • HUG(주택도시보증공사)나 SGI서울보증에 가입되어 있다면 보증보험 청구가 가능합니다.
  • 보험을 통해 일정 금액을 먼저 돌려받을 수 있어, 세입자에게 가장 중요한 안전장치입니다.

✅ 5. 형사 고소 + 민사 소송

  • 사기 의도가 명백하다면 사기죄 형사 고소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.
  • 동시에 **민사 소송(보증금 반환 청구 소송)**을 제기하여 법적 권리를 행사하세요.
  • 피해자가 여러 명이라면 집단 소송도 가능합니다.

✅ 6. 한국토지주택공사(LH), 지자체 피해 지원 상담

  • 전세사기 특별법이 제정되어 피해자 주거 지원, 긴급 대출, 임시 거주지 제공 등 제도가 운영 중입니다.
  • 거주 지역 지자체 또는 LH 상담 창구를 통해 지원 여부를 확인하세요.

✅ 7. 피해자 모임 참여

  • 온라인 카페, 지역 피해자 모임에 참여하면
    • 집단 소송 준비
    • 언론 제보
    • 정부 지원 정보 공유
      등에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✨ 마무리

전세 사기 피해는 개인이 감당하기엔 너무나 큰 충격과 부담을 안겨줍니다.
하지만 “빠른 증거 확보 → 임차권등기명령 → 보증보험 → 법적 대응” 이 4단계를 밟는다면,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
👉 중요한 건 혼자 끙끙 앓지 말고, 법률 전문가·피해자 모임·지자체 지원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입니다.

여러분의 소중한 보증금, 끝까지 지켜내시길 바랍니다 🙏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