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최근 정부가 발표한 민생회복 소비쿠폰(상생지원금) 2차 지급 소식이 많은 분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
지난 1차 지급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, 또 실제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정리해드릴게요.
✅ 상생지원금 1차 정리
1차 지원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기본 지급되었으며, 계층과 지역에 따라 차등이 있었습니다.
- 일반 국민: 15만 원
- 차상위계층·한부모가족: 30만 원
- 기초생활수급자: 40만 원
- 지역별 추가 지원
- 비수도권: +3만 원
- 인구소멸 위험 농어촌: +5만 원
👉 따라서 최대 48만 원까지 받을 수 있었죠.
예를 들어 농어촌 기초생활수급자는 40만 + 3만 + 5만 = 48만 원을 수령했습니다.
✅ 상생지원금 2차 정리
2차는 조금 다릅니다. 소득 하위 90% 국민에게만 1인당 10만 원씩 지급됩니다.
- 상위 10% 제외: 건강보험료 본인부담액 기준
- 직장가입자: 월 약 27만 원 이상
- 지역가입자: 월 약 51만 원 이상
- 하위 90% 대상: 1인당 10만 원 일괄 지급
👉 즉, 1차를 이미 받았든 받지 않았든, 기준에 해당된다면 추가 10만 원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.
✅ 1차 + 2차 총 수령액 예시
대상1차 지급액2차 지급액최종 수령액
일반 국민 (수도권) | 15만 원 | 10만 원 | 25만 원 |
일반 국민 (농어촌 인구소멸 지역) | 23만 원 | 10만 원 | 33만 원 |
차상위계층 (수도권) | 30만 원 | 10만 원 | 40만 원 |
차상위계층 (농어촌 지역) | 35만~37만 원 | 10만 원 | 45만~47만 원 |
기초생활수급자 (농어촌 지역) | 48만 원 | 10만 원 | 최대 50만 원 |
✅ 신청 및 수령 방법
- 신청: 거주지 지자체, 카드사, 지역화폐 앱 등을 통해 진행
- 수령 수단: 카드 포인트, 지역화폐, 선불카드 등 중 선택 가능
- 사용처: 전통시장, 소상공인 매장, 음식점, 카페, 영화관 등
- 사용 불가처: 대형마트, 백화점, 온라인몰, 유흥업소 등
👉 중요!
2차까지 모두 합쳐 받은 지원금은 2025년 11월 30일까지만 사용 가능하며, 미사용분은 자동 소멸됩니다.
📝 마무리
- 1차는 전 국민 + 차등 지원
- 2차는 하위 90% 일괄 10만 원 지급
- 최소 25만 원, 많게는 50만 원까지 수령 가능
이번 지원금은 소비 촉진과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한 정책입니다.
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을 미리 확인하시고, 꼭 기한 내에 알뜰하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!
반응형
'실생활 주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동산 전쟁~ 보증금 분쟁 예방 [체크리스트]!! (0) | 2025.09.04 |
---|---|
“돈 못 돌려받아요” 보증금 전쟁~ 1년 만에 폭증! (0) | 2025.09.04 |
사이버보안 비상…전 금융권 내일부터 ‘블라인드 모의해킹’ 돌입 (0) | 2025.09.03 |
2025년 2분기 경제 성적표: GDP 0.7% 성장, GNI 1.0% 증가 (0) | 2025.09.03 |
주택연금, 왜 배신이라는 말이 나올까? 해외 사례와 비교해보기 (1) | 2025.09.02 |
댓글